서울시는 온실가스 배출의 91%가 에너지소비에서 발생하고 에너지소비는 석유·가스 등 화석연료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화석연료를 줄일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2021년 기준 4.3%(0.8GW)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열 △수열 △연료전지 △태양광 △소수력 등 다양한 에너지원의 균형있는 보급을 기반으로 2026년 12.6%(1.6GW), 2030년 21%(2.4GW)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구 분 | ~2021 (누계) | 연차별 목표 | 2030년 보급목표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신재생에너지 보급량(MW) | 831.5 | 132.6 | 175.0 | 165.0 | 180.0 | 169.0 | 2,405 |
태양광 | 346.0 | 40.0 | 40.0 | 40.0 | 40.0 | 44.0 | 800 |
연료전지 | 147.0 | 53.0 | 65.0 | 65.0 | 70.0 | 40.0 | 600 |
지열·수열 | 243.0 | 37.0 | 70.0 | 60.0 | 70.0 | 85.0 | 905 |
소수력발전 | 0.5 | 2.6 | - | - | - | - | 5 |
기타 (폐기물,태양열) | 95 | - | - | - | - | - | 95 |
▲ 신재생에너지원별 보급목표(단위: MW).
균형감있는 신재생E원 확대
화석연료를 대체해 건물 냉난방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지열은 올해 서울시건물 3개소, 반포 재건축사업, 신축 공공건물 등 18MW를 보급하고 △재정투자 △민간융자지원 △신축의무화 등을 통해 2030년 총 600W를 설치한다. 수열은 올해 환경부 공모사업 선정지와 반포 재건축사업에 19MW를 보급하고 2030년까지 신축건물 중심으로 총 305MW를 설치한다.
서울시는 올해 물재생센터 등 공공시설에 53MW규모 연료전지 보급을 추진하고 2030년까지 공공 유휴부지 발굴 및 민자투입으로 600MW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연료전지는 서울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적합한 분산형 전력공급시설로 태양광 발전시설의 10분의 1 이하 공간에서 전력과 동시에 열을 생산해 도시형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성이 높다.
또한 주유소에 연료전지, 태양광 등을 설치해 직접 전기를 생산하고 전기차 충전시설까지 갖춘 ‘종합에너지스테이션’을 2030년까지 서울시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내연차량 감소추세에 따라 휘발유·경유 소비량이 줄면서 기존 주유소들이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주유업계는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전기차 충전병행 등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