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알림마당

공지사항

단열재 ‘발포제 리스크’ 현실화 우려

최장은 2022-01-17 13:46:35 조회수 238

단열재 ‘발포제 리스크’ 현실화 우려

글로벌 공급난에 발포제 가격 급등…원가인상 ‘부담’
HCFC·HFC 글로벌 규제 영향 발포제 리스크 장기화
단열재산업 글로벌 규제충격 연착륙 방안 '미비'


단열재 발포제 리스크가 현실화하며 단열재산업계에 충격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단열재 원료·원자재 급등에 따라 업계 고충이 가중되는 가운데 글로벌 발포제 규제에 따라 이러한 상황이 재발할 수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단열재업계는 대부분 중국산 발포제에 의존하고 있다. 최근 중국의 생산중단 사태로 인한 공급부족에 더해 전기차, 태양광패널 등 생산확대에 따른 수요증가로 HCFC계 발포제의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발포제는 단열재 생산 시 원료를 가열·용융해 발포시켜 성형하는 과정에 주입되는 것으로 발포입자 사이사이에 머무르며 열전달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단열성능을 결정짓는 핵심요소다.

발포제로는 불소계 가스가 주로 사용된다. 불소계 가스는 온실가스로서 오존층을 파괴하고 지구온난화계수(GWP)가 높은 CFC(1세대), 오존파괴지수(ODP)가 낮고 GWP가 높은 HCFC(2세대), ODP는 0이지만 GWP가 높은 HFC(3세대), ODP가 0이며 GWP가 낮은 HFO(4세대) 등이 있다.

현재 단열재산업 중 발포제를 사용하는 영역은 XPS(압출폴리스티렌), PU(폴리우레탄), PF(페놀폼) 등이다. 주로 XPS는 142b, R22 등을 사용하며 PU는 141b, CP를, PF는 CP를 사용한다. 141b, 142b, R22 등은 2세대인 HCFC에 해당한다.

발포제별 물성 및 특성.
▲ 발포제별 물성 및 특성.


XPS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4월 kg당 2~3달러 수준이던 142b 발포제가 9월 이후 15달러 이상으로 5배 이상 치솟았으며 이마저도 품귀현상에 따라 수급조차 안돼 생산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XPS 단열재업계는 지난 1월1일 출고분부터 기존단가대비 20% 인상했으며 이는 지난해 초에 비해 50% 가량 인상된 가격이다.

PU업계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유사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복수의 업계관계자에 따르면 우레탄 스프레이폼에 활용되는 141b의 경우 지난해 하반기 20% 이상 가격이 인상됐으며 현재는 지난해 초에 비해 10% 가량 인상된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라 우레탄 스프레이폼은 지난해 초에 비해 ㎡ 당 단가가 10% 이상 인상됐다. 그러나 2020년 초와 비교하면 보드(단열판)의 경우 40%, 스프레이폼의 경우 50% 가량 제품단가가 인상됐다. 이에 더해 기업간 경쟁이 치열한 시장특성상 원가인상을 제품단가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사업성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발포제 품귀현상은 전 세계 냉매·발포제 등 불소계 가스의 70% 가량을 생산하는 중국의 생산차질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화력발전이 전체발전량의 68.5%를 차지하는 중국은 지난해 하반기 석탄 수급불균형과 위드코로나 돌입추진에 따른 전력수요 급증이 겹치며 9~11월 극심한 전력난에 시달린 바 있다. 141b, 142b를 포함한 발포제의 생산 역시 타격을 받아 공급이 감소했다.

또한 글로벌 전기차시장, 태양광패널 시장이 확대돼 배터리의 전해질로 쓰이는 HCFC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한 것도 가격인상 및 품귀현상을 촉발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글로벌 발포제 쿼터…사태 재발 우려
문제는 글로벌 발포제 규제지형 상 이러한 상황이 재발할 우려가 큼에도 정부나 산업계 모두 충분히 대응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HCFC는 현재 글로벌 감축대상 물질로 지정돼 쿼터제에 걸려있는 상황이다. 수년 내 퇴출될 품목이므로 생산 증가를 기대할 수 없어 문제가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HCFC는 선진국에서 1989년부터 제한적으로 사용됐으며 2020년 기준으로 이미 전량 퇴출된 발포제다. 우리나라는 1989년 몬트리올의정서에 따라 개도국 분류에 속해 2015년 국내 소비수량을 기준으로 2020년까지 35% 감축했으며 2025년까지 67.5% 감축, 2030년까지 97.5% 감축에 이어 2040년까지 전량 폐기해야 한다.

정부는 이러한 구간별 감축목표를 충격 없이 달성하기 위해 매년 감축목표를 별도로 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1년부터 2025년까지 구간에서는 매년 전년대비 13.09%를 감축해야 한다. 이는 수량으로 보면 1만4,987톤에 달하는 양이다.

발포제 글로벌 생산기지인 중국 역시 HCFC 생산량 퇴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10월 G20 정상회의에서 중국은 ‘경제의 녹색전환’, ‘3060 쌍탄소 전략*’을 선언했다.

*3060 쌍탄소(双碳) 전략: 2030년 탄소피크에 도달하고 206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전략.

HCFC에 대해서는 목표를 앞당겨 2026년 생산량 ‘0’를 목표로 설정했다. 중국은 몬트리올 의정서 상 우리나라와 같은 개도국으로 분류돼 2030년까지 97.5% 감축하면 되지만 이를 앞당긴 것이다.

또한 수출규제에도 나섰다. 지난해 10월26일 중국 생태환경부, 상무부, 해관총서는 기존 오존층 파괴물질 44종에 신규로 24종을 추가한 ‘2021년 오존층 파괴물질 수출입 제한목록’을 발표, 11월1일부로 시행했다. 신규 목록에는 HCFC류가 포함됐으며 향후 수출입 시 허가증관리 대상이 된다.

이에 따라 국내 단열재산업 역시 차세대 발포제로 전환하지 않을 경우 발포제 공급부족에 따라 이러한 상황을 다시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몬트리올의정서에 따른 HCFC 결정사항.
▲ 몬트리올의정서에 따른 HCFC 결정사항.


HFC 발포제전환 ‘실기’ 우려
글로벌 HCFC 쿼터규제 대응을 위해 3세대 발포제인 HFC로의 전환을 고려할 수 있지만 현재 이마저도 시기를 놓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HFC 역시 몬트리올 의정서와 파리기후변화협정의 후속조치로 2016년 의결된 키갈리 개정의정서에 따라 쿼터제 적용을 목전에 둔 상황이기 때문이다.

HFC는 2020년부터 시작된 기준수량 산출이 올해로 종료된다. 단열재 업계가 당장 올해 HFC로 전환해 수입을 진행하지 않으면 기준수량에 포함되지 않아 향후 수입을 하려야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후 2024년까지는 수량이 동결되며 2028년부터 감축이 개시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기준수량의 대부분은 선박용으로 실적보고가 이뤄질 전망이다. HCFC 위주인 단열재 발포제가 1~2년 내 HFC로 전환코자 해도 쿼터제에 따른 수입규제로 물량을 확보할 수 없는 것이다.

즉 당장 올해 HFC로 전환하지 않는다면 HFO나 CO₂, 수발포 등 대체발포제로의 전환이 불가피하다. 이 경우 고려할 수 있는 발포제는 245fa 등 HFC 발포제, 1233zd, 1335mzz 등 HFO 발포제 등이 있으며 CO₂, 수발포의 경우에는 R&D를 통한 물성개선이 필요하다.

현재 기업들이 시장동향을 주시하며 눈치를 살피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발포제 전환에 대해 실행력있는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17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을 통해 유기발포단열재의 친환경발포제 전환을 검토한 바 있으나 이는 2030년 HCFC 퇴출 수준의 로드맵이다. 이후 당장 올해 적용되는 HFC 기준수량 산출 등 HFC 감축에 대해서는 뚜렷한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는 실정으로 현재는 환경부 차원의 불소계 온실가스 발포제 라벨링제도 등이 논의되는 수준이다.

글로벌 동향에 따라 국내 산업계의 규제충격을 완화하고 발포제 전환을 연착륙시킬 수 있는 연차별 발포제 전환 로드맵 및 가이드 제시 등의 정부의 역할이 시급하다.